서대구산단 활성화구역 내 LH 산업시설용지를 리츠가 매입하여 복합지식산업센터 건립 후 10년 임대 후 분양전환
관련근거 :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지정(’09), 도시재생 경제기반형 사업 지정(’16)
근거법령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재생사업 활성화) 기반시설 정비사업 시행으로 인해 이전이 불가피한 기업체에게 산단 내 순환거점공간 마련을 통해 재생사업 활성화에 기여
(공공성 확보) 이전기업 및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위해 안정적 임대료로 산업활동 공간을 제공하고 근로자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시설 확보
(사업방식 다각화) 조성원가가 높은 재생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축사업에 민간투자 유치를 통해 다양한 사업방식 추구
(주택도시기금 활용) 주택도시기금의 개편 및 도시계정의 신설에 따라 기금을 활용한 리츠사업 추진
- 정부(기금출 · 융자), 지자체(출자), 공공기관(출자)이 협력하여 추진하는 사업
(위치) 서대구산업단지 활성화구역 내 산업시설용지
(부지면적) 5,433㎡(준공업지역, 산업시설용지)
(건축규모) 지하2층, 지상9층(저층부 제조형, 고층부 업무형)
(연면적) 33,636㎡
(공사기간) 착공 후 24개월
(공급방식) 10년 임대후 분양전환
(사업구조) LH 토지조성 후 리츠에 매각, 리츠가 지식산업센터 및 지원시설 등이 결합된 복합건축물 건축
(산단재생 앵커 역할 수행) 노후산단 재생사업 최초의 복합지식산업센터 리츠사업으로 노후산단내 혁신성장 앵커역할 수행, 도심내 산업활동공간 공급으로 신성장동력 창출에 기여
▶ 산업공간 임대료 수준은 주변시세 대비 저렴하게 공급검토
(재정집행 가시화) 現정부 핵심공약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연내 신속추진하여 뉴딜사업 연간예산 10조원 집행 등 성과 가시화
(일자리 기반 창출) 건설단계뿐 아니라 창업인력으로 복합지식산업센터 사업에 따라 총 1,713개의 일자리 창출 기대
(스타트업 등 지원) 청년 스타트업 기업을 서대구 복합지식산업센터로 조기 입주지원
▶ LH에서 서대구 지식산업센터에 우선 입주를 전제로 ‘청년창업 지원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 지원(’18년지원업체 4개중 3개 기업 펀딩 성공)
(지자체 협업모델 구축) 대구시의 출자(24억원) 및 지식산업센터의 연면적 40%를 사전임차 · 매입확약으로 사업의 안정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