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국민의 부동산 간접투자 기회 제공) 부동산 투자 접근이 어려운 소액투자자에게 우량 부동산에 대한 투자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일반국민의 부동산 투자 욕구 충족
(부동산 가격 안정) 인구증가와 경제발전에 따른 지가상승 등에 의한 투기적 부동산 시장을 건전한 투자시장으로 전환하여 부동산 가격 안정 도모
(건설시장 활성화 도모) 외환위기 이후 건설산업의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자본시장 에서 안정적으로 자금조달이 가능한 역할 필요
(부동산산업 발전) 상대적으로 낙후된 부동산시장을 선진화하고 우수 전문인력을 육성함으로써 대외개방에 따른 경쟁력을 제고하고 유동화하기 어려운 부동산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부동산 거래의 활성화 도모
도입시기
리츠는 1960년 미국에서 최초 도입을 시작으로 2000년 이후 유럽 및 아시아로 급속히 확산되었으며,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보유 부동산 유동화를 통한 기업구조조정을 촉진하고,
일반국민의 부동산에 대한 간접투자 기회 를 제공하기 위해 2001년 「부동산투자회사법」을 제정(2001.05.07)하여 도입
장 점
(투명성 제고) 공개시장에서 리츠 관련 정보가 투자자에게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도 록 유통됨으로써 부동산 시장의 투명성 제고
(직접관리부담의 면제) 주식 매입을 통해 부동산에 간접 투자한 경우 부동산 직접 관리에 따른 관리비용 부담 감소
(위험분산) 여러 종류의 부동산에 투자함으로써 단일 부동산에 내재되어 있는 위험 을 희석할 수 있으며 분산투자 가능
(높은 유동성(환금성)) 리츠 주식은 상장되어 거래되므로 자본조달이 용이하며 또한 투자 원금의 회수 기회를 신속히 제공 받을 수 있음